프로그램 | 시간 | 내용 | |
---|---|---|---|
개회식 | 16:30-17:10 | 개회사 | 손혁상, 한국국제협력단 이사장 |
환영사 | 최종문, 외교부 제2차관 | ||
축사 |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, 세계보건기구(WHO) 사무총장 | ||
축사 | 헨리에타 포어, 유엔아동기금(UNICEF) 사무총장 | ||
기조연설 | 수잔나 무어헤드, OECD 개발원조위원회(DAC) 의장 | ||
세션1 | 17:30-19:00 | 보건 체계의 복원력 강화 | |
좌장 | 이종구,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/ 외교부 글로벌보건안보대사 | ||
연사 | 마리아 네이라, 세계보건기구(WHO) 공중보건·환경국장 | ||
쩐 티 마이 오아인, 베트남 보건전략정책연구소장 | |||
조영무, 외교부 개발협력국장 | |||
세션2 | 19:20-20:50 | 기후변화와 녹색 회복 | |
좌장 | 정태용,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 | ||
연사 | 프랭크 라이스베르만, 글로벌녹색성장기구(GGGI) 사무총장 | ||
조이스 음수야, 유엔환경계획(UNEP) 부사무총장 | |||
송웅엽, 한국국제협력단 이사 | |||
세션3 | 21:10-22:40 | 포용적인 디지털 전환 | |
좌장 | 고기영, 유엔 아시아태평양 정보통신교육원(UN-APCICT/ESCAP) 원장 | ||
연사 | 도린 보그단 마틴, 국제전기통신연합(ITU) 통신개발국장 | ||
송치웅, 과학기술정책연구원(STEPI) 부원장(선임연구위원) | |||
크리스토퍼 번스, 미국 국제개발처(USAID) 기술국장 | |||
폐회식 | 22:40-22:45 | 폐회사 | 송민현, 한국국제협력단 이사 |
프로그램 | 시간 | 내용 | |
---|---|---|---|
등록 | 09:00-09:30 | 참가자등록 | |
개회식 | 09:30-10:30 | 개회사 | 이미경, 한국국제협력단 이사장 |
환영사 | 이태호, 외교부 차관 | ||
축사 | 윤상현,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 | ||
기조연설 | 엔다 무르니닝띠아스, 2019년 유엔 글로벌지속가능개발보고서를 위한 독립과학자그룹 공동의장/ (전) 인도네시아 국가개발계획청 차관 | ||
휴식 | 10:30-10:50 | VIP 기념사진 촬영 | |
세션1 | 10:50-11:40 | 상생번영 공동체를 위한 비전 | |
좌장 | 손혁상, 경희대학교 대외협력 부총장 /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교수 | ||
연사 | 존 오버튼, 뉴질랜드 빅토리아 대학교 교수 | ||
레이첼 칼레야, 해외개발연구소 선임 연구원 | |||
마이클 뱀버거, 개발평가 독립 컨설턴트 | |||
11:40-12:10 | 토론 및 질의응답 | ||
오찬 | 12:10-13:50 | 오찬 | |
세션2 | 13:50-14:55 | 상생번영 ODA 이행전략 | |
좌장 | 스테판 클링어빌, 유엔개발계획 서울정책센터 소장 | ||
연사 | 탐슨 바튼, 영국 원조효과 독립위원회 수석위원장 | ||
응웬 연 하이, 베트남 기획투자부 대외경제국 부국장 | |||
이네스 바이에르, 라트비아 개발협력 플랫폼 국장 | |||
오현주, 외교부 개발협력국 국장 | |||
14:55-15:25 | 토론 및 질의응답 | ||
휴식 | 15:25-15:40 | 커피 브레이크 | |
세션3 | 15:40-16:45 | 상생번영 가치실현의 우수사례 | |
좌장 | 김혜경, 이화여자대학교 초빙교수 | ||
연사 | 아이너 옌센, 주대한민국 덴마크 대사 내정 | ||
백숙희, 한국국제협력단 이사 | |||
필립 터너, 주대한민국 뉴질랜드 대사 | |||
마 빅토리아(마빅) 발레자, 여성 평화구축자 글로벌 네트워크 대표 | |||
16:45-17:15 | 토론 및 질의응답 | ||
폐회식 | 17:15-17:25 | 폐회사 | 박재신, 한국국제협력단 이사 |
프로그램 | 시간 | 내용 | |
---|---|---|---|
등록 | 09:00-09:30 | 참가자등록 | |
개회식 | 09:30-10:10 | 환영사 | 이미경, KOICA 이사장 |
축사 | 조현, 외교부 차관 | ||
축사 (영상메세지) | 제프리 삭스, 컬럼비아대학교 지속가능성장센터 소장 | ||
기조연설 | 알린 웨어, PNND 글로벌 코디네이터 | ||
휴식 | 10:10-10:30 | 휴식(기념사진 촬영) | |
세션1 | 10:30-11:40 | SDGs 달성을 위한 지속적 평화와 개발 넥서스: 도전과 기회 | |
좌장 | 오준, 세이브더칠드런 코리아 이사장 | ||
연사 | 패브릭 베런, 세계은행 취약 · 분쟁 · 폭력(FCV) 아시아 고문 | ||
헤르나니 코엘류 다 실바, (전)동티모르 외교부장관 | |||
히로시 카토, 일본국제협력기구(JICA) 수석부총재 | |||
오현주, 외교부 개발협력국장 | |||
11:40-12:10 | 토론 및 질의응답 | ||
오찬 | 12:10-13:30 | 오찬 | |
세션2 | 13:30-14:40 | 민주적 거버넌스 증진을 위한 ODA 역할 | |
좌장 | 발라즈 호르바트, 유엔개발계획 서울정책센터 소장 | ||
연사 | 김태균,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| ||
로베르토 비시오, 우루과이 Social Watch Network 코디네이터 | |||
페르 노드런드, 스웨덴국제개발협력청(SIDA) 수석정책전문가 | |||
메사우드 룸다니, 튀니지 경제·사회권리포럼 회장 | |||
14:40-15:10 | 토론 및 질의응답 | ||
휴식 | 15:10-15:30 | 휴식(회의장 밖 커피와 쿠키) | |
세션3 | 15:30-16:40 | 인권과 성평등 달성을 위한 포용적 ODA의 역할 | |
좌장 | 이성훈, 아시아발전연대(ADA) 수석 고문 | ||
연사 | 아사 레그너, 유엔여성기구(UN WOMEN) 부총재 | ||
디아니 사디아와티, 인도네시아 국가개발계획부장관 수석고문 | |||
트란 티 민 흐엉, 베트남 여성연맹 국제관계부 부국장 | |||
조영숙, 한국여성단체연합 국제연대센터 소장 | |||
16:40-17:10 | 토론 및 질의응답 | ||
폐회식 | 17:10-17:20 | 폐회사 | 송진호, KOICA 이사 |
프로그램 | 시간 | 내용 | |
---|---|---|---|
등 록 | 09:00 - 09:30 | 참가자 등록 | |
개회식 | 09:30 - 10:10 | 환영사 | 최성호, 한국국제협력단(KOICA) 이사장 직무대행 이사 |
축사 | 심재권,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 | ||
조엘 이보네, 주한유럽연합대표부 대사대리 | |||
기조연설 | 조 현, 외교부 차관 | ||
휴 식 | 10:00 - 10:30 | 휴식(기념사진 촬영) | |
세션 1 | 10:30 - 11:40 | SDGs 시대에 ODA에 대한 재탐색 | |
좌장 | 김은미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원장 | ||
연사 | 토마스 가스, 유엔경제사회국 사무차장보 | ||
야스시 칸자키, 일본국제협력기구(JICA) 이사 | |||
이희진, 국제개발협력학회 회장 | |||
정진규, 외교부 개발협력국장 | |||
11:40 - 12:10 | 토론 및 질의응답 | ||
오 찬 | 12:10 - 13:30 | 오찬 | |
세션 2 | 13:30 - 14:40 | 빈곤퇴치 주요 기여 수단으로서의 ODA | |
좌장 | 오 준, 경희대학교 교수, 전 UN 경제사회이사회 의장 | ||
연사 | 프란즈 본 로엔, 독일기술협력공사 P4H 프로그램 수석 | ||
양호승, 한국월드비전 회장 | |||
임 수어, 캄보디아 개발외원회 차관보 | |||
막시밀리아노 멘데스-파라, 해외개발연구소 선임연구원 | |||
14:40 - 15:10 | 토론 및 질의응답 | ||
휴 식 | 15:10 - 15:30 | 휴식 | |
세션 3 | 15:30 - 16:55 | 개발 재원 촉매제로서의 ODA-민간부문과의 파트너십 | |
좌장 | 발라즈 호르바트, 유엔개발계획 서울정책센터 사무소장 | ||
연사 | 가레스 스필레인, 글로벌혁신펀드 이사 | ||
정우용, 한국국제협력단(KOICA) 이사 | |||
파루크 메랄리I, 엠클리니카(글로벌혁신펀드 수혜기업) 대표 | |||
이동영, 노을(KOICA 창의적 가치창출 프로그램 수혜기업) 대표 | |||
리차드 발레, 바나패즈(스웨덴 국제협력청 IAP 수혜기업) 대표 | |||
16:55 - 17:25 | 토론 및 질의응답 | ||
폐회식 | 17:25 - 17:30 | 폐회사 | 정우용, 한국국제협력단(KOICA) 이사 |
프로그램 | 시간 | 내용 | |
---|---|---|---|
[1일차] 2016년 8월 31일(수) | |||
등 록 | 08:30 - 09:00 | 참가자 등록 | |
개회식 | 09:00 - 09:40 | 환영사 | 김인식, KOICA 이사장 |
축사 | 심재권, 국회 외교통일 위원회 | ||
기조연설 | 조태열, 외교부 차관 | ||
09:40 - 10:00 | 휴식(기념사진 촬영) | ||
10:00 - 10:30 | 축하공연 | ||
세션 1 | 10:40 - 12:05 | MDGs로 인한 변화와 SDGs 이행에 대한 함의 | |
좌장 | 김은미, 이화여대 국제대학원장 | ||
연사 | 마이클 오닐, UN 사무차장보 겸 UNDP 대회협력국장 | ||
아서 얼킨, UNFPA 커뮤니케이션 및 전략파트너십 국장 | |||
존 성, USAID 개발협력 선임참사관 | |||
이용수, 외교부 개발협력국장 | |||
판 응녹 마이 푸엉, 베트남 개발전략연구소 부소장 | |||
12:05 - 12:40 | 토론 및 질의응답 | ||
세션 2 | 14:30 - 16:00 | SDGs의 이행방안 준비현황과 계획 | |
좌장 | 킬리파티 라마크리쉬나, UNESCAP 동북아 지역 사무소 소장 | ||
연사 | 파이잘 후세인, UNCDF 아태지역 총괄 금융포용 자문관 | ||
아흐메드 시데, 에티오피아 재정경제협력부 차관 | |||
정우용, KOICA 이사 | |||
두린 샤흐나즈, Impact Investment Exchange Asia 대표 | |||
16:40 - 16:45 | 토론 및 질의응답 | ||
[2일차] 2016년 9월 1일(목) | |||
등록 | 09:00 - 09:30 | 참가자 등록 | |
09:30 - 09:50 | 장내정리 및 회의시작 안내 | ||
세션 3 | 09:50 - 11:00 | SDGs 시대에 포용성을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 | |
좌장 | 아서 얼킨, UNFPA 커뮤니케이션 및 전략파트너쉽 국장 | ||
연사 | 마리오 페치니, OECD 개발협력센터 소장 | ||
나오키 이토, JICA 부총재 | |||
마리 조이 피고지, Executive Above All 재단, Educate A Child 프로그램국장 | |||
이명선,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원장 | |||
11:00 - 11:50 | 토론 및 질의응답 | ||
폐회식 | 11:50 - 12:10 | 폐회사 | 김 인, KOICA 이사 |
프로그램 | 시간 | 발표자 | |
---|---|---|---|
등록 | 14:30 - 15:00 | 등록 및 리셉션 | |
개회식 | 15:00 - 16:10 | 개회사 | 김영목, KOICA 이사장 |
환영사 | 조태열, 외교부 차관 | ||
기조연설 | Mark Lowcock, DFID 차관 | ||
Erik Solheim, OECD DAC 의장 | |||
16:40 - 16:30 | 휴식(VIP 포토세션) | ||
세션 1 | SDGs 달성을 위한 포용적 파트너십 | ||
- '포용성' 및 '포용적 파트너십' 용어의 의미와 배경 - 현재 개발 패러다임에서 기존 글로벌 파너트십의 한계 - Post-2015 개발 프레임워크에서 개발을 위한 포용적 파트너십의 역할과 향후 방향 |
|||
16:30 - 18:00 | 세션1 기조연설 | Jeroen Verheul, 네덜란드 개발협력 대사 | |
좌장 | 김은미, 이화여대 국제대학원장 | ||
연사 | Michael O’NEILL, UNDP 대외관계국장 | ||
Greert Laporte, 개발정책관리유럽센터(ECDPM) 국장 | |||
장현식,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초빙교수 | |||
민희경, CJ 부사장 | |||
18:00 - 18:30 | 토론 및 Q&A |
프로그램 | 시간 | 발표자 | |
---|---|---|---|
등록 | 09:30 - 10:00 | 등록 및 리셉션(VIP 포토세션) | |
세션 2 | 신흥공여국과 새로운 포용적 파트너십 | ||
- 개발효과성을 도모하기 위해, 신흥공여국들은 어떻게 포용적 파트너십에 참여하는가? 그들의 전략은 무엇인가? - 포용적 파트너십에 참여하기 위하여 각자 행위자 및 기관은 어떤 종류의 정책과 프로그램을 시행하는가? - 각각의 공여국들에게 포용적 파트너십의 항의는 무엇인가? |
|||
10:00 - 11:30 | 세션2 기조연설 | H.E. SHEKHA LUBNA KHALID SULTAN S AL QASSIMI, 아랍에미레이트 | |
좌장 | Edward Hedger, ODI 원조 및 공공지출 센터장 | ||
연사 | Mehmet Sureyya ER, 터키협력조정청 이사 | ||
Noel GONZALEZ SEGURA, 멕시코 AMXCID 부청장 | |||
Olzhas Issabekov, 카자흐스탄 외교부 대외경제정책부장 | |||
Tony Addison, 유엔대학 세계경제개발연구소(UNU-WIDER)부국장 | |||
11:30 - 12:00 | 토론 및 Q & A | ||
오찬 | 12:00 - 13:00 | 오찬 | |
세션 3 | 13:30 - 15:00 | Post-2015 개발협력체제와 내 아시아 지역의 전환적 파트너십 | |
- Post-2015 개발협력체제에서 아시아 공여국들은 개발효과성을 도모하기 위해 어떻게 글로벌 파트너십을 형성하고 발전시키는가? - 어떤 분야가 아시아 공여국들의 포용적 파트너십에 가장 효과적인가? - 포용적 파트너십이 어떻게 더 발전될 수 있는가? |
|||
세션3 기조연설 | Hideaki Domichi, JICA 수석 부총재 | ||
좌장 | Kilaparti Ramakrishna, UNESCAP 동북아지역 사무소장 | ||
연사 | Li Xiaoyun Dean, 개발학 교수, 중국농경대 통합농업개발센터 원장 | ||
Takahanshi Motoki, 일본 고베대학교 교수 | |||
최성호, KOICA 지역사업이사 | |||
Suchada Thaibunthao, 태국 TICA 前청장 | |||
Nguyen Xuan Tien, 베트남 기획투자부 대외경제관계국 부국장 | |||
13:00 - 15:30 | 토론 및 Q & A | ||
세션 4 | 15:30 - 16:00 | 휴식 | |
16:00 - 17:30 | 포용적 파트너십의 현장 사례와 교훈 | ||
- 포용적 파트너십에 참여하기 위하여 각자 행위자 및 기관은 어떤 종류의 정책과 프로그램을 시행하는가? (성공적인 우수사례) - 어떤 분야에서 포용적 파트너십이 가장 효과적인가? - 각자가 직면하는 상황에서 어떤 사례가 가장 효과적이었는가? - 각 분야에서 포용적 파트너십의 성공을 위해 필요한 조건들은 무엇인가? - 각자의 개발행위자에서 왜 포용적 파트너십이 중요한가? - 파트너십이 민관재원을 공동출자하고, 각자 행위자의 비교우의를 최대한 촬용하는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나? |
|||
세션4 기조연설 | Joachim Pret, GIZ 아시아, 라틴 아메리카, 캐리비안 지역부 이사 | ||
좌장 | 손혁상,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교수 | ||
연사 | Federico Bonaglia, OECD 개발선터 상임고문 | ||
Duc Tran, USAID의 개발혁신벤처(DIV) 포트폴리오 관리자 | |||
Laura Budzyna, MIT D-Lab의 모니터링, 평가 및 교육 코디네이터 | |||
최용근, LG전자 에티오피아 지점장 | |||
17:30 - 17:50 | 토론 및 Q & A | ||
폐회식 | 17:50 - 18:00 | 폐회사 | 김 인, KOICA 전략기획부 이사 |
프로그램 | 시간 | 발표자 | |
---|---|---|---|
등록 | 08:30 - 09:30 | 참가자 등록 | |
개회식 | 09:30 - 10:10 | 개회사 | 김영목, 한국국제협력단 이사장 |
환영사 | 조태열, 외교부 차관 | ||
축사 | 김성환, 서울대학교 글로벌 사회공헌단 단장, 전 외교통상부 장관 | ||
기조연설 | 핀 타르프, 유엔대학교 세계개발경제연구소 소장 | ||
히로시 카토, 일본국제협력기구 이사 겸 연구소 소장 | |||
10:10 - 10:30 | 휴식 | ||
세션 1 | 거버넌스와 제도 | ||
10:30 - 12:20 | 좌장 | 핀 타르프, 유엔대학교 세계개발경제연구소 소장 | |
연사 | 데이비드 부스, 영국 해외개발연구소 정책 및 거버넌스 연구위원 | ||
탄디카 므칸다위르, 런던정치경제대학교 교수 | |||
권혁주, 서울대학교 교수 겸 아시아개발연구소 부소장 | |||
오 찬 | 12:00 - 14:00 | 오찬 (13:20-13:50 출판 세미나) | |
세션 2 | 성공과 위험 : 공여국과 수원국들의 경험 | ||
14:00 – 17:00 | 좌장 | 김은미,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원장 | |
연사 | 스티븐 피어스, 미국국제개발처 개발효과성 특별조정관 | ||
로엘 판더펜, 네덜란드 외교부 학술고문 | |||
박수영, 한국국제협력단 ODA 연구팀 팀장 | |||
라를로스 F.또란소 로까, 볼리비아 전략연구 운영위원회 회장 | |||
프레드릭 고루바 무테비, 맨체스터대학교 환경 교육 개발대학 명예연구위원 | |||
하이메 파우스티노, 아시아재단 개발혁신정신 및 경제개혁프로그램 책임자 | |||
패널토론 및 질의응답 | |||
폐회식 | 17:00 - 17:15 | 폐회사 | 김 인, 한국국제협력단 이사 |
프로그램 | 시간 | 내용 | |
---|---|---|---|
개회식 | 09:20 - 10:00 | 개회사 | 김영목, 한국국제협력단 이사장 |
환영사 | 신동익, 외교부 다자외교조정관 | ||
축 사 | Rebeca Grynspan, 유엔개발계획(UNDP) 부총재 | ||
10:00 - 10:20 | 기조연설 | Scott Wightman, 주한영국대사 | |
휴 식 | 10:20 - 10:40 | 휴식 | |
세션 1 | ODA와 그 외 개발재원 |
||
좌장 : 정진규, 외교부 개발협력국 심의관 | |||
10:40 - 11:20 | MDGs 달성에서의 공적개발원조(ODA)의 기여 | ||
연사 | Richard Carey, 개발협력전문가 / 前 OECD 개발협력국장 | ||
Saymonekham Mangnomek, 라오스 기획투자부 대외협력국 부국장 | |||
11:20 - 11:40 | Post-2015 의제 이행을 위한 개발재원 | ||
연사 | Dirk Willem Dijkerman, OECD 개발협력국 특별자문관 | ||
11:40 - 12:50 | 패널토론 | ||
연사 | Hiroshi Kato, 일본국제협력기구(JICA) 연구소 소장 | ||
이계우, 국제정책대학원(KDI) 교수 | |||
Douangsamone Dalavong, 라오스 여성동맹 부국장 | |||
Van Hung Dao, 베트남 기획투자부 산하 정책개발아카데미 총장 | |||
질의응답 | |||
오 찬 | 12:50 - 14:15 | 오찬 | |
세션 2 | 포괄적이고 지속 가능한 개발 | ||
좌장 : 김은미,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원장 | |||
14:15 - 14:30 | 빈곤의 종말 | ||
연사 | Finn Tarp, 유엔대학 세계개발경제연구소(UNU-WIDER) 학장 | ||
14:30 - 15:00 | 성장과 고용 | ||
연사 | 신상협, 국제개발협력학회 학회장 | ||
Peter Utting, 유엔사회개발연구소(UNRISD) 부소장 | |||
15:00 - 15:15 | 녹색성장 | ||
연사 | 정태용, 국제정책대학원(KDI) 교수 / 前 GGGI 부소장 | ||
15:15 - 16:00 | 패널토론 | ||
연사 | Richard Carey, 주한방글라데시 부대사 | ||
Khandker Masudul Alam, 주한방글라데시 부대사 | |||
B.M.U.D. Basnayake, 스리랑카 환경부 차관 | |||
Hoang Mai Pham, 베트남 기획투자부 산하 과학교육연자원 환경국 국장 | |||
질의응답 | |||
16:00 - 16:20 | 휴식 | ||
세션 3 |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환경 구축 | ||
좌장 : 장현식, 한국국제협력단 이사 | |||
16:20 - 16:40 | 환경지속성 | ||
연사 | Kilaparti Ramakrishna, UNESCAP 동북아지역 사무소 소장 | ||
16:40 - 17:00 | 거버넌스와 효과적인 제도 | ||
연사 | Okey Onyejekwe, 지속가능한 거버넌스 센터 소장 | ||
17:00 - 17:40 | 평화와 안보 : 취약국 | ||
연사 | Habib Ur Rehman Mayar, F7+ 사무국 정책전문관 | ||
Ad Melkert, 前 UNDP 부총재 / 前 이라크 주재 유엔특사 | |||
17:40 - 18:25 | 패널토론 | ||
연사 | 홍승목, 前 네팔대사 / 前 한국국제협력단 이사 | ||
이성훈,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(KCOC) 정책센터장 | |||
Alvaro Pinto Scholtbach, 서울정책사무소 소장 | |||
질의응답 | |||
폐회 | 18:25 - 18:30 | 폐회사 | |
연사 | 장현식, 한국국제협력단 이사 |
프로그램 | 시간 | 발표자 | |
---|---|---|---|
등록 | 08:00 - 09:00 | 참가자 등록 | |
개회식 | 09:00 - 09:40 | 개회사 | 박대원, 한국국제협력단 이사장 |
환영사 | 김성한, 외교통상부 차관 | ||
축사 | 육동한, 국무총리실 국무차장 | ||
09:40 - 10:00 | 기조연설 | Edmundo Fujita, 브라질 주한대사 | |
10:00 - 10:30 | 휴식 | ||
세션 1 | 부산 글로벌 파트너십의 이행과 Post-2015 개발 프레임워크와의 연계 | ||
좌장 : 홍승목, 한국국제협력단 이사 | |||
10:30 - 10:50 | 연사 | 부산 글로벌 파트너십의 이해 및 이행방안 - 박은하 외교통상부 개발협력국 국장 | |
10:50 - 11:10 | 연사 | Post-2015 아젠다 형성 - Sigrid Kaag 유엔개발계획(UNDP) 총재보 | |
11:10 - 11:30 | 연사 | 부산 글로벌 파트너십 체제와 Post-2015 개발 프레임워크 - Brian Atwood 경제협력개발기구(OECD) 개발원조위원회(DAC) 의장 | |
11:30 - 12:00 | 패털토론 | 이일청, 유엔사회개발연구소(UNRISD) 연구조정관 | |
Richard Manning, (전)개발협력개발기구(OECD) 개발원조위원회(DAC) 의장 | |||
Roselynn Musa, 아프리카 여성개발 네트워크(Femnet) 프로그램 담당 | |||
12:00 - 12:20 | 질의응답 | ||
오 찬 | 12:20 - 14:00 | 오찬 | |
세션 2 | 다양한 개발협력 주체의 부산 글로벌 파트너십 이행방안 | ||
좌장 : 황원규, 국립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| |||
14:00 - 14:20 | 연사 | 개도국의 부산 글로벌 파트너십 이행방안 - Monowar Ahmed, 방글라데시 재정부 원조효과성 국가프로젝트 담당 국장 | |
14:20 - 14:40 | 연사 | 신흥 경제국의 부산 글로벌 파트너십 이행방안 - Xiaoyun Li, 국제빈곤감소센터(IPRCC) 선임연구위원 | |
14:40 - 15:00 | 연사 | DAC 공여국의 부산 글로벌 파트너십 이행방안 - Tony Pipa, USAID 정책기획연구국 국장 | |
15:00 - 15:20 | 휴식 | ||
15:20 - 15:40 | 연사 | 민간부문의 부산 글로벌 파트너십 이행방안 - 주철기, 유엔글로벌컴팩트 한국협회 사무총장 | |
15:40 - 16:00 | 연사 | 시민사회의 부산 글로벌 파트너십 이행방안 - Roselynn Musa Femnet, 프로그램 담당관 | |
15:40 - 16:00 | 패털토론 | Anne-Isabelle Degryse-Blateau, 유엔개발계획(UNDP) 서울정책사무소 소장 | |
박수덕, 국무총리실 대외협력과장 | |||
이성훈, 한국인권재단 상임이사 | |||
16:30 - 16:50 | 질의응답 | ||
폐회 | 16:50 - 17:00 | 폐회사 | 홍승목, 한국국제협력단 이사 |
프로그램 | 시간 | 발표자 | |
---|---|---|---|
개회식 | 09:00 - 09:30 | 개회사 | 박대원, 한국국제협력단 이사장 |
환영사 | 홍성화, 부산세계개발원조총회 준비기획단 단장 | ||
기조연설 | Thandika Mkandawire, 영국 London School Economics 교수 | ||
휴식 | 09:30 - 09:40 | 휴식 | |
세션 1 | 한국의 개발 경험의 시사점 | ||
좌장 : 이일청, 유엔사회개발연구소 연구조정관 | |||
09:40 - 12:40 | 연사 | 연구 개관 및 개발효과성에의 함의 - 이일청, 유엔사회개발연구소 연구조정관 | |
사회정책과 한국의 개발 : 탐색 - Thandika Mkandawir, 영국 London School Economics 교수 | |||
한국의 개발경험과 역량 강화 개발국가로의 21 세기적 전환 - Peter B. Evan,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, Berkeley 교수 | |||
휴식 | |||
연사 | 국내시장의 강화 : 한국개발에의 새로운 접근 - Alice H. Amsden, 미국 M.I.T 교수 | ||
개발협력효과성 관점에서 본 한국의 경험 - 이일청, 유엔사회개발연구소 연구조정관 | |||
Olive Cocoman, 유엔사회개발연구소 연구원 | |||
정유아, 한국국제협력단 ODA 연구실 팀장 | |||
이현주, 한국국제협력단 상임연구원 | |||
한국의 수원 경험과 부산 세계 총회에의 함의 | |||
정유아, 한국국제협력단 ODA 연구실 팀장 | |||
이현주, 한국국제협력단 상임연구원 | |||
패널토론 | Sebastian Rovira, 유엔 라틴 아메리카 카리브 경제 위원회 연구원 | ||
Frederick Golooba-Mutebi, 우간다 Makerere University 교수 | |||
홍상희, 외교통상부 서기관 | |||
질의응답 | |||
오 찬 | 12:40 - 14:10 | 오찬 | |
세션 2-1 | 한국 사회보호 정책의 변화와 발전 (Conference Hall Ⅱ) | ||
좌장 : 손혁상,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교수 | |||
14:00 - 15:00 | 연사 | 사회복지체제와 산업화 - 한국의 사례 연구 - 이주하, 동국대학교 교수 | |
사회정책과 개발관점에서의 그 전환적 역할 : 한국개발경험으로부터의 교훈 - 정무권, 연세대학교 교수 | |||
한국 경제 위기에 대한 사회정책적 대응의 변화와 지속성: 1979-81년과 1997-97년 - 양재진,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| |||
휴식 | |||
연사 | 사회 서비스의 발전 : 한국의 교육 및 보건 정책 - 이일청, 유엔사회개발연구소 연구조정관 | ||
패널토론 | Chee-khoon Chan, 말레이시아 University of Malaysia 교수 | ||
우명숙, 중앙대학교 사회학연구소 전임연구원 | |||
Peter B, Evans, 미국 University of Califonia, Berkeley 교수 | |||
질의응답 | |||
세션 2-2 | 한국의 개발에서 국내외적 요인과 분야별 개발 경험(Conference Hall Ⅰ) | ||
좌장 : Kelechi A. Kalu, 미국 The Ohio State University 교수 | |||
14:10 - 16:50 | 연사 | 한국의 개발 연합 - 김은미,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원장 | |
새마을 운동, 그 역사와 현재 - Michael Donglass, 미국 University of Hawaii 교수 | |||
개발 촉진적 국제 원조 기술 전파의 자국화 과정 : 한국의 개발 경험 - 김태균, 이화여자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| |||
휴식 | |||
연사 | 한국의 개발과 젠더 - 이진옥,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상임연구원 | ||
환경 변화에 대한 한국의 대응: 녹색 성장의 기원과 발전 동인, 개발에 대한 영향 Manohar Pawar, 호주 Charies Sturt University 교수 허태욱, 한국 NGO 학회 사무국장 |
|||
패널토론 | Sebastian Rovira, 유엔 라틴 아메리카 카리브 경제 위원회 연구원 | ||
허 장,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글로벌협력연구본부 국제농업협력팀장 | |||
임원혁, 한국개발연구원 개발연구실장 | |||
김은경,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국제개발협력팀장 | |||
임소영, 한국국제협력단 연구관 | |||
질의응답 | |||
16:50 - 17:10 | 휴식 | ||
세션 3 | 종합정리 (Conference Hall I ) | ||
좌장 : 장현식, 한국국제협력단 이사 | |||
17:10 - 17:30 | 연사 | 박은하, 외교부 개발협력국장 | |
Thandika Mkandawire, 영국 London School of Economics 교수 | |||
Peter B. Evans,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, Berkeley 교수 | |||
Alice H. Amsden, 미국 M.I.T 교수 |
프로그램 | 시간 | 발표자 | |
---|---|---|---|
개회식 | 09:00 - 09:50 | 개회사 | 민동석, 외교통상부 제 2차관 |
환영사 | 박대원, KOICA 이사장 | ||
축 사 | Keiichi Tsunekawa, JICA 부총재 | ||
기조연설 | 조윤선, 국회의원 | ||
세션 1 | 국제 개발협력의 새로운 비전 | ||
좌장 : Homi Kharas, 브루킹스 연구소 선임 연구원, 세계 경제 & 개발 프로그램 부국장-공동연구 개관 및 HLF-4에의 함의 | |||
09:50 - 12:30 | 연사 | Capacity Development / Akio Hosono, JICA 연구소 선임연구원 | |
Public Private Partnership / Jane Nelson, 하버드대 케네디 스쿨 CSR 이니셔티브 국장 | |||
휴식 | |||
연사 | Private Development Assistance / Lindsay Coates, Inter Action 부총재 | ||
패널토론 | (총괄) 설경훈, 외교통상부 개발협력국장 | ||
Dasa Silovic, UNDP 개발정책국 선임정책자문 | |||
나윤수, KOTRA 해외협력개발팀 처장 | |||
김은미, 이화여자대학교 개발협력연구원 원장 | |||
질의응답 | |||
오 찬 | 12:40 - 14:10 | 오찬사 | 박대원, KOICA 이사장 주재 |
공동연구 컨퍼런스 volume 출판기념회 | |||
발간축사 | Keiichi Tsunekawa, JICA 부총재 | ||
Johaness Linn, 브루킹스 연구소 선임 연구원 | |||
세션 2 | 새로운 개발환경 속에서의 역할 변화 | ||
좌장 : Brenda Killen, OECD DAC 원조효과작업반 과장 | |||
14:50 - 17:20 | 연사 | 수원국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기회와 도전 / Deogratious Mutalemwa, 탄자니아 재경부정책자문 | |
새롭게 조명되는 국제지역 기구의 역할 및 조정틀 / Johaness Linn, 브루킹스 연구소 선임 연구원 | |||
양자 공여국의 경험 및 역할 | |||
1) non-DAC 공여국의 경험 및 역할 Zhang Lihua, 중국 상무부 1등 서기관 |
|||
2) 한국 개발경험과 개발효과성에의 함의 정우진, KOICA 상임 연구원 |
|||
패널토론 | Antonio Tujan, Better 국제부 국장 | ||
Roland Peters, 세계은행 정책지원부 국가 정책국 국장 | |||
Caroline Leclerc, CIDA 전략 정책 성과국 국장 | |||
임원혁, KDI 정책연구실장 | |||
질의응답 | |||
폐회 | 17:20 - 17:30 | 폐회식 |
프로그램 | 시간 | 발표자 | |
---|---|---|---|
개회식 | 09:00 - 09:30 | 개회사 | 박대원, KOICA 이사장 |
축사 | Johannes F. Linn, 브루킹스 연구소 울펜손 개발센터장 | ||
기조연설 | 신각수, 외교부 제 2차관 | ||
세션 1 | 국제개발협력 환경의 변화에 따른 도전과 과제 | ||
좌장 : Johannes F. Linn, 브루킹스 연구소 울펜손 개발센터장 | |||
09:30 - 10:20 | 연사 | Homi Kharas, 브루킹스 연구소 울펜손 개발센터 선임연구원 | |
Talaat Abdel-Malek, OECD DAC 원조효과작업반 의장 | |||
Barbara Wingate Lee, 세계은행 원조효과 팀장 | |||
패널토론 | Kazuo Sunage, 일본 외무성 국제협력심의관 | ||
David Morrison, UNCDF 사무국장 | |||
Antonio Tujan, IBON International 국장 | |||
설경훈, 외교통상부 개발협력국장 | |||
Afshan Khan, 유니세프 공공부문 협력/재원조달 국장 | |||
11:00 - 11:20 | 휴식 | ||
11:20 - 12:30 | 질의응답 | ||
오 찬 | 12:30 - 14:30 | 오찬 | |
세션 2 | 새로운 개발환경 속에서의 역할 변화 | ||
좌장 : Brenda Killen, OECD DAC 원조효과작업반 과장 | |||
14:00 - 16:10 | 연사 | Yanara Chhieng, 캄보디아 개발위원회 재건개발위 사무총장 | |
Brenda Killen, OECD DAC 원조효과작업반 과장 | |||
Paul Graham, 아프리카 민주주의 연구소 (Idasa) 사무국장 | |||
패널토론 | Mary-Anne Addo, 가나 재정경제기획부 다자재원조달 과장 | ||
Roland Meyer, 독일경제협력개발부 국가지역협력과장 | |||
김혜경, 지구촌 나눔운동 사무총장 | |||
장현식, 한국국제협력단 이사 | |||
16:10 - 16:20 | 휴식 | ||
16:20 - 17:30 | 질의응답 | ||
세션 3 | 종합정리 | ||
좌장 : 오 준, 외교통상부 다자외교조정관 | |||
17:30 - 18:10 | 연사 | Johannes F.Linn, 브루킹스 연구소 울펜손 개발센터장 | |
폐회 | 18:30 | 폐회식 |
프로그램 | 시간 | 발표자 | |
---|---|---|---|
개회식 | 09:20 - 09:45 | 개회사 | 김성환, 외교통상부 차관 |
환영사 | 박대원, KOICA 총재 | ||
9:45 - 10:00 | 휴식 | ||
세션 1 | MDGs 중간평가와 그 과제 | ||
좌장 : 오 준, 외교통상부 다자외교조약실장 | |||
10:20 - 12:15 | 연사 | Bernard Petit, EU 개발총국 부총국장 | |
Bruce Jenks, UNDP 사무차장보 | |||
Stephen Groff, OECD 개발국 부국장 | |||
패널토론 | Sarah Cliffe, 세계은행 동아시아 국장 | ||
Torgny Holmgren, 스웨덴 외교부 개발국 국장 | |||
김혜경, 지구촌나눔운동 사무총장 | |||
오 찬 | 12:15 - 13:30 | 박대원 KOICA 총재 초청 오찬 | |
세션 2 | 원조 효과성의 제고 - 보다 효과적인 MDGs 달성을 위하여 | ||
좌장 : Jackie Frizelle, 뉴질랜드 국제개발청 부청장 | |||
13:30 - 15:40 | 연사 | Adnan Z Amin, UN체제 수장회의 국장 | |
Matthew Sudders, 영국 국제개발부 양자관계과장 | |||
패널토론 | 장현식, 前 KOICA 정책연구실장 현 KOICA 이사 | ||
Tom Arnold, 아일랜드 CONCERN WORLDWIDE 회장 | |||
Gabriel Ferrero, 스페인 외교부 개발협력기획정책 부국장 | |||
Stefan Leiderer, 독일 개발연구소 연구원 | |||
15:40 - 16:00 | 휴식 | ||
세션 3 | 원조와 글로벌 이슈 | ||
좌장 : 선준영, 유엔한국협회 부회장 & CEO | |||
16:00 - 18:10 | 연사 | Koro Bessho, 일본 외무성 국제협력국장 | |
최순홍, UN 정보통신기술국 사무차장보 | |||
Milan Vodopivec, 세계은행 노동시장팀장 | |||
패널토론 | Mary Power, 국제기상기구 재원조달국장 | ||
Yoshiteru Uramoto, UN공업개발기구 사무차장 | |||
Stephen Groff, OECD 개발국 부국장 |
프로그램 | 시간 | 발표자 | |
---|---|---|---|
개회식 | 09:30 - 10:05 | 개회사 | 조중표, 외교통상부 제1차관 |
환영사 | 신장범, KOICA 총재 | ||
영상메시지 | 반기문, UN 사무총장 | ||
기조연설 | Jeffrey D. Sachs, UN MDGs 특별고문 | ||
10:05 - 10:20 | 휴식 | ||
세션 1 | 거버넌스와 MDGs 의미와 추진현황 제도 | ||
좌장 : Richard Carey, OECD 개발협력국장 | |||
10:20 - 12:15 | 연사 | Jeffrey D. Sachs,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교수 | |
Hakim Ben Hmmouda, UNECA 사무총장 대리 | |||
패널토론 | 박석범, 외통부 국제경제국장 | ||
Warwick Morris, 주한영국대사 | |||
장현식, KOICA 정책연구실장 | |||
Edward Reed, 아시아재단 한국대표 | |||
오 찬 | 12:15 - 13:30 | 오찬 KOICA 총재 초정 오찬 (에메랄드 룸) | |
세션 2 | 효과적 MDGs 달성 방안 모색 | ||
좌장 : 조 현, 주UN 차석대사 | |||
14:00 - 16:10 | 연사 | Adrian Davis, 영국 DFID 중국지부장 | |
Bruce Jenks, UNDP 사무차장보 | |||
패널토론 | 송경순, 서울대 초빙교수 | ||
김혜경, 경실련 국제위원장 | |||
Reichiro Takahashi, 일본외무성 국제협력국참사관 | |||
Abdallh Mugammad Wali, 나이지리아 국가개발위원회 부위원장 | |||
조삼광, UNECA 선임 경제학자 | |||
16:10 - 16:20 | 휴식 | ||
세션 3 | 국제 개발경험의 공유를 위하여 | ||
좌장 : 김은미,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교수 | |||
16:35 - 18:20 | 연사 | Richard Carey, OECD 개발협력국장 | |
전승훈, 한국개발전략연구소장 | |||
Lester Dally, 세계은행 수석 경제학자 | |||
패널토론 | Bruce Jenks, UNDP 사무차장보 | ||
김정수, 중앙일보 경제신문 기자 | |||
이태주, 한성대 교수 | |||
오수용, 해외원조단체협의회 사무총장 | |||
만 찬 | 19:00 - | 송민순, 외교통상부장관 초청 만찬(공관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