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이트맵
글로벌 가치를 실현하고 상생의 국익을 창출하는
선도적 글로벌 개발협력 기관
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

2023년 3분기

/WEB-INF/jsp/k2web/com/cop/site/layout.jsp
koica_kr_JW_MS_K2WT001_S
탭 3분기 2분기 1분기

2023년 3분기 ‘고객 의견(VOC) 반영’ 우수 개선 사례를 소개합니다. 1.KOICA에서 실시하는 국별협력사업에 대한 질의가 접수되었습니다. 전문가(사업수행기관)의 안정적인 체류를 위한 장기 비자 발급이 필요합니다. 반영하였습니다! 외부 전문가의 지위 및 비자발급 관련 내용은 수원국과의 무상원조협정에 언급 또는 협의의사록 상 표준조건으로 명기되어 있습니다. 그럼에도 간혹 협조가 원활하지 않은 경우 해당 국가 사무소와 공유하여 개선안을 모색 중이며, 현 사안의 중대성을 공관 및 수원기관에 알려 실질적인 해결방안이 도출될 수 있도록 소통채널을 강화하였습니다. 사업형성(예비/기획) 단계에서 KOICA, PMC, 수원국 정부 간 밀접한 업무 추진을 위한 거버넌스 구성이 필요합니다. 반영하였습니다! 예비/기획 조사단계시 사업수행 거버넌스 조사는 이미 진행 중이나, 기관별 R&R을 더욱 명확하게 설정하여 사업 협의의사록(RoD)에 반영토록 지침을 마련했습니다. 일부 사업의 경우 사업비 예산 선금 및 기성금 부족으로 원활한 사업 추진이 어렵습니다. 반영하였습니다! KOICA는 연초에 연차점검을 실시하며 파트너 기관측에 해당년도 사업 이행계획 및 기성금 청구 계획 수요를 받고 있습니다. 차년도 예산 수요 역시 정기 업무협의시 파악하는 등 관련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있습니다. 사업 기간 연장에 따른 경영요인에 대한 예비비 활용 등의 유연한 예산 반영이 필요합니다. 반영하였습니다! 예비비 활용은 총 계약금액 내 특별 사유일 경우 KOICA 사전 승인 하에 활용토록 운영하고 있습니다. *“총 사업비 내 사업관리 원칙”하에 인력투입 추가, 기존과업 대비 수량증가, 2천만원 미만의 신규과업, 자산성 기자재 구매, 환차손 보전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침 시행 중 2.KOICA에서 실시하는 기업협력사업에 대한 질의가 접수되었습니다. 중소기업의 캐시플로우 문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. 반영하였습니다! 기업의 글로벌 진출 및 단계별 스케일업을 위한 정책금융지원 관련 신용보증기금 협업 파트너십 구축을 완료하였습니다.또한, 스타트업 전용 금융/비금융 프로그램, 입찰, 계약 등 필요 이행보증 등 맞춤형 금융서비스를 확대 진행하고 있습니다. CTS, IBS 사업 수행 우수기관이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국별협력사업 트랙 신설을 고민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. 반영하였습니다! CTS/IBS 우수 사업성과를 국별협력사업, 국제기구사업 등 타사업과 연계할 수 있는 신규 사업트랙 도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 사업 추진시 필요에 따라 TF 팀 구성을 통해 중소기업의 이해도를 높이고 대기업과의 협력도 조율할 수 있는 구상이 필요합니다. 반영하였습니다!
기업협력사업 공모 및 심사, 사업실행, 위기관리 등 사업운영 전반 관련한 파트너참여형 TF를 운영하여 제도개선계획을 도출한 경험이 있습니다. 추후에도 법률, 회계, 사업분야 전반의 전문가 및 파트너사 구성원들과의 TF 구축 및 운영을 통해 협력 고도화를 위한 제도개선 추진을 지속할 예정입니다. 대기업의 적극적인 참여 및 투자의 관점에서 협업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, 고려해주시길 요청합니다. 반영하였습니다! KOICA-기업 협업 다각화를 위한 각 기업별 특성 및 사업 수요에 부합하는 인센티브 제도 도입 및 혼합금융, 임팩트 투자 관점 대기업과의 협업 방안을 확대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. 3.KOICA에서 실시하는 글로벌인재(봉사단수행기관)에 대한 질의가 접수되었습니다. 다문화, 기초생활수급자 등 사회적 배려층을 지원해주시길 요청합니다. 반영하였습니다! 해외봉사단 파견규정 시행세칙 제4조(서류심사), 제5조(면접)에 따라 사회적 배려층에 대한 서류 및 면접전형 가산점 각 3점 부여하고 있습니다.
* 규정 외에도 2021년부터 기관 위탁형 봉사단 사업(청년중기봉사단, NGO봉사단)의 경우 사회적 배려층 선발 비율을 전체 인원의 15% 설정하여 선발 중. 봉사단 사업의 예산을 증액해주시길 요청합니다. 반영하였습니다! 정부의 청년정책 부응 일환으로 단기 청년 봉사단 등 청년 중심 봉사단 파견규모를 확대하려는 노력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. 봉사단 활동에 대한 구체적 업무 조사가 필요합니다. 반영하였습니다! 프로젝트 봉사단의 경우, 현지활동에 대한 봉사단 역할과 과업을 구체적으로 설정 후 단원 파견하는 방향으로 개편 검토하고 있습니다. 봉사단의 체계적 사후 관리의 필요성을 고려해주시길 요청합니다. 반영하였습니다! 커리어센터를 통한 귀국단원 대상 다양한 취창업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. 또한, 2024-2025년 청년중기 봉사단 사업추진시 단원 활동성과 공유 등 귀국 후 커리어 강화 측면에서 지원 가능한 부분을 검토할 예정입니다.
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.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?